술마시고 감기약 먹어도 될까? - 행복한블로그
세상이야기 / / 2023. 5. 10. 00:40

술마시고 감기약 먹어도 될까?

술 마시고 나서 감기가 걸리면 감기약을 먹어도 되는지 고민이 된다. 또는 감기가 있어 감기약을 먹었는데 술자리에 참석하게 되면 술을 먹어도 될까 고민이 될 수도 있다. 이 포스팅에서는 술과 감기약을 같이 먹어도 되는지 알아보겠다.

 

술마시고 감기약 먹으면?

1. 증상

둘을 같이 먹으면 감기약의 효과가 감소하고 심장박동 증사, 간수치 증가 같은 증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결론을 말하면 술과 감기약을 같이 먹으면 안 됩니다.

 

2. 안 되는 이유

우리가 사 먹는 감기약은 보통 타이레놀 성분입니다. 구성성분 중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들어있는데, 이 아세트아미노펜이 알코올과 만나면 독성물질이 생겨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이 먹는 게 안 좋습니다. 술 먹고 난 다음에는 다른 거보단 그냥 비타민C와 물을 많이 먹는 게 더 좋습니다.

 

3. 술 마시고 몇 시간 뒤

술 마시고 감기약을 먹으면 몸에 안 좋다는 건 이해가 가는데, '몇 시간이 지난 뒤에는 먹어도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몇 시간 뒤에도 먹지 않는 게 좋습니다. 보통 술이 깨고 하루정도는 회복기간을 주는 게 좋습니다. 손상된 간이 회복하고 난 뒤에 약을 먹는 게 좋기 때문입니다. 과음해서 숙취가 심한 경우 2일 이상 휴식기간을 두는 게 좋습니다.

 

알코올 해독시간 확인하기

 

 

술과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음식들

1. 대부분의 약들

진통제, 해열제, 혈압약 등 대부분의 약들은 술과 같이 먹으면 안 됩니다. 진통제는 아스피린이 들어있는데 술과 같이 먹으면 위장출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해열제는 감기약으로 앞에서 알아본 것처럼 아세트아미노펜이 들어있어 안 좋습니다. 혈압약은 술과 같이 먹을 때 혈압이 떨어지는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대부분의 약들이 술과 함께 먹을 때 문제가 있으니 따로 먹는 게 좋습니다.

 

2. 카페인 함유 음식

커피, 녹차, 초콜릿, 탄산음료 등 많은 음식들이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 알코올과 카페인은 둘 다 수분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몸속에 수분을 배출시키고 알코올 농도가 높아져 더 힘들어지게 됩니다.
  • 알코올을 분해하느라 지쳐서 몸이 피곤해져 졸음이 오는데 카페인을 먹으면 다시 잠을 깨는 각성상태가 됩니다. 그러면 몸은 지쳐서 쉬고 싶은데 잠을 잘 수가 없으니 나중에 더 힘들어집니다.
  • 술을 먹어서 소화기관이 안 좋아진 상태에서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몸이 더 안 좋아집니다. 카페인은 자극적인 음식에 속하기 때문에 몸이 회복되고 나서 먹는 게 좋습니다.

 

 

우유를 먹으면 숙취가 해소될까?

술 마시기 전에 우유를 마시면 속 쓰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마도 이건 매운 음식을 먹기 전에 우유를 미리 먹으면 위를 보호할 수 있다는 생각이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실제로 우유를 통해 속 쓰림을 막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간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공급한다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되죠. 그리고 물, 주스, 우유 등 위에서 말한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를 제외한 음료와 같이 먹으면 좋습니다. 소변을 통해 알코올이 어느 정도 배설되기 때문에 숙취해소에 도움을 줍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